한국산업안전뉴스

서울역사편찬원, 소설 속 서울 100년의 이야기 '서울의 현대소설' 발간

현대소설로 보는 서울의 역사와 시민들의 삶…서울역, 전차, 버스 등 교통수단 변천사 조명

이영진 기자 | 기사입력 2024/10/25 [11:45]

서울역사편찬원, 소설 속 서울 100년의 이야기 '서울의 현대소설' 발간

현대소설로 보는 서울의 역사와 시민들의 삶…서울역, 전차, 버스 등 교통수단 변천사 조명
이영진 기자 | 입력 : 2024/10/25 [11:45]

▲ 일제강점기 종로 네거리 화신백화점 주변 거리 풍경


[한국산업안전뉴스=이영진 기자] 서울역사편찬원이 서울문화마당 제25권 '서울의 현대소설'을 발간했다. 송민호 홍익대 교수가 쓰고 권은 한국교통대 교수가 감수한 이번 도서는 서울을 배경으로 한 다양한 현대소설을 통해 서울의 역사와 문화, 사회상을 조명한다.

서울역사편찬원은 서울의 각종 문화와 서울 사람들의 삶을 읽기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기 위해 '서울문화마당' 시리즈를 발간하고 있다.

'서울의 현대소설'은 서울역, 인력거, 전차, 택시, 버스 등 교통수단의 변천사와 함께 서울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먼저 이수일과 심순애로 유명한 조중환의 '장한몽', 한용운의 '박명'을 통해 서울역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다양한 인물들의 삶을 보여준다. ‘근대의 상징’ 이었던 서울역 정거장과 대합실은 근대 서울사람들의 격동하는 삶을 보여주는 거울이 됐다.

'장한몽'에서는 연인에게 배반당해 냉혈한이 된 수일이 서울역에서 떠나는 친구를 몰래 배웅하는 모습을 통해 수일의 인간미를 보여주는 장소로, '박명'에서는 서울역에서 기차를 타고 색주가로 팔려가는 순영이 등장한다.

이어 현진건 '운수 좋은 날',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통해 서울 시내를 오갔던 인력거와 무료하게 산책하는 사람들의 모습 속 삶의 아이러니를 보여준다. '운수 좋은 날'은 인력거꾼 김첨지의 불안한 ‘운수 좋은 날’을 통해 가난한 인력거꾼의 비극과 식민지의 현실을 보여주고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서울의 거리와 천변을 무료하게 걷는 지식인 ‘구보’를 통해 당시의 서울을 그려보게 한다.

다음 장에서는 노자영 '반항', 박경리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하근찬 '전차구경'을 통해 전차의 운행과 퇴장을 그리며, 서울 거리에서 일어나는 사람들의 삶과 추억에 대해 묘사한다.

노자영은 '반항'에서 전차를 기다리며 사랑에 빠지는 당시 경성 젊은이들의 모습을, 박경리는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는 전차를 통해 1930년대 서울의 복잡하고 분주한 모습을 회상한다. 하근찬의 '전차구경'에서는 은퇴한 전차기사의 시선으로 변화하는 서울을 보여준다.

네 번째 장에서는 유진오의 소설 '김강사와 T교수', 박태원의 '적멸'속 택시와 버스를 통해 변화하는 서울 거리와 사회상을 표현한다.

'김강사와 T교수'는 택시를 통해 당시의 계급 차이를, '적멸'은 버스를 통해 근대화되는 서울의 모습을 그린다.

다섯 번째 장에서는 6.25전쟁 이후 서울의 혼란과 일상을 정비석의 '자유부인', 이범선 '오발탄',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을 통해 살펴본다.

'자유부인'은 전후 서울의 자유분방한 밤문화를, '오발탄'과 '서울 1964년 겨울'은 6.25 전쟁 이후 피폐해진 서울 속 고통받는 사람들의 현실을 묘사한다.

여섯 번째 장에서는 전쟁 후 복구되기 시작한 서울의 번잡함과 서울살이의 어려움을 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 박태순의 '서울의 방' 등을 통해 살핀다.

'길'과 '서울은 만원이다'는 서울살이의 환상을 가지고 상경했지만, 고단함과 때를 묻힌 채 고향으로 돌아가는 주인공을 통해 서울살이의 차가운 현실을 그려내고, '서울의 방'은 갑자기 사라진 방을 통해 서울사람들에게 ‘방’이 어떤 의미인지, ‘서울사람’이 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고 있다.

'서울의 현대소설'은 시민청 서울책방에서 구매할 수 있고, 서울 소재 공공도서관과 서울역사편찬원 누리집에서 전자책으로도 열람 가능하다.

이상배 서울역사편찬원장은 “이번 '서울의 현대소설'을 통해 소설 변화하는 서울의 문화와 사회상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서울의 역사를 흥미롭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서울문화마당 시리즈를 계속해서 발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영진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