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안전뉴스

서울시, 한양도성‧북한산성 잇는 조선수도방어체계 완성… 탕춘대성 국가 사적 지정

조선후기 독특한 방어체계 엿볼 수 있는 중요 유산, 문화재청 등과 협조해 체계적 보존

박혜숙 기자 | 기사입력 2024/04/09 [11:32]

서울시, 한양도성‧북한산성 잇는 조선수도방어체계 완성… 탕춘대성 국가 사적 지정

조선후기 독특한 방어체계 엿볼 수 있는 중요 유산, 문화재청 등과 협조해 체계적 보존
박혜숙 기자 | 입력 : 2024/04/09 [11:32]

 

 

 

탕춘대성(원경- 북한산 일원)

 

 

 

[한국산업안전뉴스 박혜숙 기자] 한양도성의 서북쪽인 인왕산 기차바위에서 시작해서 북한산 향로봉 아래까지 이어지는 길이 약 5㎞의 산성인 ‘탕춘대성(蕩春臺城)’이 국가 사적으로 지정됐다.

 

서울시는 1976년 지정 이후 서울시 유형문화재(제33호)로 관리되어 온 ‘탕춘대성’의 역사적·학술적 가치, 잔존상태 등을 고려해 9일 문화재청에 의해 최종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으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22년 사적 예비문화재로 선정 후 약 2년 만에 사적으로 승격된 최초 사례다.

 

서울시는 탕춘대성 원형 파악을 위해 ’22년, ’23년 두 차례 발굴조사를 실시해 숙종~영조 대에 이르는 조선후기 축성술임을 확인했고 2022년 ‘탕춘대성 사적지정 승격을 위한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해 역사‧문화‧학술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재조명했다.

 

학술심포지엄과 2차례의 발굴조사뿐만 아니라 사적 지정을 위해 2022~2023년 성곽 보수 및 탐방로 인근 수목 정비도 추진했다.

 

시는 지정 후 문화재청 및 유관기관인 환경부, 산림청과 협조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탕춘대성은 조선 후기 독특한 방어체계를 엿볼 수 있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성곽유산으로 1702년(숙종28년) 우의정 신완의 건의를 받아 1715년부터 건설이 시작되어, 영조 시대인 1754년 완성됐다. 임진왜란 이후 도성 방어체계의 완성이라고 볼 수 있다.

 

탕춘대성은 도성 서쪽을 방어하면서 군량을 보관하고, 전쟁 시에는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에 보급하는 중요한 기지로 활용되고 동시에 두 성을 이어주는 통로 기능도 했다. 아울러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인근 성곽의 군량 보급과 지휘를 담당하는 배후 성이다.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차단성이자 연결성(통로성)의 역할을 하는 성곽으로 홍지문(弘知門)과 오간수문, 암문 등 성곽 부속 시설이 있다. 성 내부에 총융청 터, 평창 터 등 국방 관련 시설이 있다.

 

성 내부에는 탕춘대성과 관련된 총융청 터, 평창 터와 같은 조선 후기 국방 관련 유적이 있다.

 

영조는 탕춘대성 내부에 북한산성과 서남부를 방어하는 총융청을 옮기면서 국가 변란에도 도성을 지키겠다는 계획인 ‘수성절목’을 반포해 조선후기 도성방어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탕춘대성의 축성은 영조가 벌인 청계천 하천 준설 사업과 함께 수도 한양을 안전하고 살기 좋은 지역으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한편 1920년대 초까지 축조 당시 모습을 유지했으나, 홍수로 홍지문과 오간수문 등 일부가 훼손돼 1976년 탕춘대성의 정문인 홍지문과 오간수문 등을 복원했다.

 

최경주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탕춘대성은 18세기 이후 확립된 도성방어체계 개선의 마침표를 찍은 유산이자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하는 관문 장성의 성격을 지닌다”라며 “앞으로도 서울에 숨겨진 보배 같은 문화유산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이를 즐기는 데 부족함이 없도록 가꿔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